안녕하세요. 주식을 하다보면 몇년째 적자기업... 흑자전환은 호재고... 그런 말을 많이 듣습니다..그런 회사를 보면 대단한 신기술도 아니고, 인기있는 섹터의 종목도 아닌경우가 있습니다..그런데 그런 회사가 몇년째 적자 그래도 주식은 상장되어있고...그런회사가 계속 생존할수 있는 이유가. 투자자가 있어서 그런건가요? 대출을 계속받는건지..적자인데 회사 유지비나. 직원들 월급은 어떻게 주는지...이런 구조가 이해가 안가서... 가르침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소상공인 정책자금 지원을 돕는 전문 컨설팅 업체 '정책자금연구소 바름' 입니다.
"질문에 대한 답변 드리겠습니다"
A : 주식을 하시면서 몇 년째 적자 상태인데도 상장된 기업이 어떻게 생존하고 있는지 궁금하셨군요. 이는 기업의 생존과 성장을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한 질문입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적자 기업이 생존하는 이유는 단순히 '현재 돈을 못 벌어서' 회사가 망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입니다. 기업이 생존하는 데 필요한 '돈(현금)'을 여러 가지 방법을 통해 계속해서 조달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직원 월급과 운영비를 조달하는 구조를 포함하여 자세히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1. 적자 기업이 생존하는 핵심 이유: 현금 조달 능력
회계상의 '적자'와 회사가 당장 운영할 수 있는 '현금'은 다릅니다.
적자 (손익계산서): 매출액에서 매출원가, 판관비 등을 뺀 **이익(순이익)**이 마이너스라는 의미입니다. 회계 장부상 돈을 벌지 못했다는 뜻이죠.
생존 (현금흐름표): 회사가 당장 지출해야 할 비용(직원 월급, 임차료 등)을 지불할 수 있는 현금이 있느냐의 문제입니다.
적자 기업이 생존하는 가장 큰 이유는 바로 이 '현금'을 외부에서 계속 조달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① 투자 유치 (자본 조달)
가장 흔한 방법이며, 질문자님이 언급하신 **'투자자'**의 역할입니다.
유상증자: 주식을 새로 발행하여 투자자들에게 팔고 현금을 확보합니다. 주주(투자자)들은 기업의 미래 성장 가능성을 보고 투자하기 때문에, 현재 적자라도 괜찮다고 판단하면 돈을 넣어줍니다.
전환사채(CB), 신주인수권부사채(BW) 발행: 빚을 지는 형태(채권)이지만, 나중에 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권리가 붙어 있어 투자자들에게 매력적입니다.
② 차입 (부채 조달)
은행이나 다른 금융기관에서 돈을 빌리는 것입니다.
은행 대출: 기업의 부동산, 재고, 또는 정부 보증 등을 담보로 대출을 받습니다.
정책 자금: 정부나 지자체의 지원을 받는 대출이나 보조금 등입니다.
③ 비핵심 자산 매각
회사가 보유한 부동산, 공장, 사용하지 않는 장비 등을 팔아 현금을 확보하는 경우입니다.
2. 적자인데 직원 월급은 어떻게 주나요?
직원 월급과 운영비는 위에서 조달한 외부 현금으로 지급합니다.
| 지출 항목 | 조달된 현금의 쓰임새 |
| 운영비 / 직원 월급 | 외부 투자금 (유상증자 등), 은행 대출금 등을 사용하여 지급. |
| 적자의 본질 | 이익은 마이너스이지만, 현금 잔고는 마이너스가 아님 (외부에서 돈이 들어왔기 때문). |
예시:
A 회사가 올해 50억 원의 손실(
$$-50$$
억 원 적자)을 기록했습니다.
하지만 A 회사가 미래 기술 가치를 인정받아 투자자로부터 100억 원의 유상증자에 성공했습니다.
회사의 회계상 이익은 여전히 적자(-50억 원)이지만, 회사 통장에는 100억 원의 현금이 새로 들어와 운영 자금으로 쓸 수 있게 됩니다. 이 돈으로 다음 해 직원 월급과 운영비를 충당할 수 있습니다.
3. 언제까지 생존할 수 있나요? (상장폐지 위험)
적자가 지속되는 기업이 무한정 생존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상장된 주식회사의 경우, 한국거래소의 상장 유지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면 상장 폐지될 수 있습니다.
| 상장폐지 주요 요건 (코스닥 기준 예시) | 의미 |
| 사업보고서 '의견 거절' | 회계 투명성 문제로 외부 감사인이 재무제표를 신뢰할 수 없다고 판단한 경우. |
| 자본잠식 | 기업의 적자가 계속 쌓여 자본금이 회사 자본 총계보다 커지는 경우. 회사의 순자산이 거의 바닥났다는 의미입니다. |
| 매출액 미달 | 일정 기간(예: 4년 연속) 동안 특정 기준 이하의 매출을 기록한 경우. |
따라서 기업은 투자를 계속 유치하거나, 비용을 절감하여 현금을 유지하거나, 또는 흑자 전환의 희망을 보여주지 못하면 결국 현금이 바닥나거나 상장폐지 절차를 밟게 됩니다.
주식 투자자 입장에서는 적자 기업의 **재무제표 중 '현금흐름표'**를 함께 분석하여 이 회사가 외부 자금을 어떻게 조달하고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채택으로 인해 발생하는 해피빈 콩은 모두 이웃을 위해 기부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참아야지! 참아라! 그러면 잘 되어 갈 걸세. 친구여, 정말 자네 말이 맞네. 세상 사람들 틈에 끼여 날마다 일에 쫓기며, 다른 사람들이 하는 일과 그들의 행동을 보기 시작한 이후로 나는 나 지신과 휠씬 더 잘 타협할 수 있게 되었네.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 - 괴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