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늦게 근로 계약서를 작성 하고 싶은 데 어떻게 말씀 드리고 지금 이 싱황에서 근로계약서에 어떤 거를 넣어달라고 해야 할까요? 알바입니다.1.문제 사장님의 계산 법을 모르겠어요. 10분 일찍 오라고 하셨는 데 숫자가 깔끔하지 않아서(?)인지 10분 일찍 온 거를 넣어 주실 때 있고 아닐때가 있는 것 같아요. 2. 문제 마감이라서 마치는 시간이 10분 33분 40분 45분 55분 뒷자리가 이럴때는 보통 어떻게 계산하고 근로 계약서에 적나요? 마감이라 마치는 시간을 특정 할 수 없어서 근로시간을 특정할 수 없을 때는 근로계약서에 어떻게 적나요? (마치는 시간이 한시간 간격 )3. 청년적금 들고 싶은 데 필요한 거라 근로계약서 작성 하고 싶어요. 근로계약서에 청년 적금을 위해 들어가야 하는 것 뭐있나요? 4. 문제 이전 못받은 거 지금 현 상황이 7개월 정도 일했는 데 몇개월 더 일하고 싶어요. 작성 하면 그날 부터 6개월 기간의 것만 보장 되나요? 대타 뛰어서 주휴수당 평소와 다르게 받을 수 있는 데근로 계약서 쓰기 전에 주휴수당을 요구 해도 되는 지궁금해요..( 대타 한 거는 얼마안돼서 대타 한날의 달 월급 받기 전이에요!)날짜 쓸때 오늘 부터 라고 하나요? 아니면 그전 부터 하나요? 5.근로계약서 쓰면 1시간 늦게 와라. 30분 늦게 와라 해도 원래 일한 거만큼 돈을 받을 수 있나요? 그랫던 적이 종종 잇어서...6. 주 15시간 보다 적게 일하는 타임인데 가끔 대다를 부탁하시면 이때는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다는 거를 계약서에 적나요? 15시간 이하라 사대보험 같은 거 안해도 되죠? 7. 근로계약서는 시장님이 써주시면 제가 하루 꼼꼼히 보고 싸인 해서 드린 다고 하면 되나요? ㅠㅠ 보통 즉석에서 히나요? 즉석에서 이런 것들을 요구 하고 수정 가능 한가요? 위에를 바탕으로 전반적으로 요구 해야할 것을 알려주세요!
근로계약서 작성을 지금이라도 요청하는 건 매우 잘하신 일입니다. 아래는 사장님께 어떻게 말씀드리고, 어떤 항목을 요구해야 하는지, 질문 번호에 맞춰 구체적으로 안내해 드릴게요.
✅ 먼저 사장님께 이렇게 말하세요:
✅ 질문별 상세 안내
1️⃣ 출근시간 10분 일찍 요구하는 문제
계약서에 ‘출근 시간’과 ‘근무 시작 시간’을 정확히 구분해서 써달라고 하세요.
예:
출근 시간: 16:50 / 근무 시작 시간: 17:00
또는 지시로 인해 10분 일찍 출근한 경우 근무시간으로 간주함
2️⃣ 마감 시간이 유동적인 경우
계약서에 다음처럼 작성 요청하세요:
- 근무 종료 시간: 마감 업무 종료 시까지 (대략 21:00~22:00 사이) - 마감 시간은 일마다 다르며, 실제 퇴근 시각 기준으로 근무시간을 산정
3️⃣ 청년적금에 필요한 내용
청년희망적금 또는 청년도약계좌를 위해선 소득 확인용 근로계약서 + 급여지급 내역이 필요합니다.
근로계약서 필수 포함 항목:
고용 형태 (단시간 근로자, 일용직 아님 명시)
계약기간 (시작일, 종료일)
시급/급여
근무요일, 시간
월급 입금 통장 계좌 (있으면 좋음)
4️⃣ 과거 일한 기간 인정, 주휴수당 관련
계약서를 지금부터 쓰더라도 과거 7개월 동안의 일한 기록을 근로일지나 메시지로 증빙하면,
▶ 과거분 주휴수당 지급 요구 가능합니다.
말할 때 이렇게 하세요:
계약서 시작일은 입사일 기준으로 요청해보세요.
예: 근로계약기간: 2023.12.01 ~ 2024.12.01 (1년)
5️⃣ 지각·출근시간 조정 지시에 따른 시급 보장
근무일에 회사 요청으로 지각한 경우 시급 보장 여부 명시 요청
- 회사의 요청에 따라 출근 시간이 조정될 경우, 기존 근무시간에 준해 시급 계산
6️⃣ 주15시간 미만 알바 + 대타 시 주휴수당 가능성
주 15시간 미만일 때는 원래 주휴수당 대상 아님
하지만 대타나 추가 근무로 인해 주 15시간 초과하면 해당 주는 주휴수당 지급 대상
- 근무시간이 일주일에 15시간 초과할 경우, 해당 주는 주휴수당 지급
4대 보험은 주 15시간 미만이라면 미가입 가능 (의무는 아님)
7️⃣ 계약서 작성 시 요청사항 / 절차 요약
사장님께 제안하세요:
“제가 한번 꼼꼼히 읽고 싸인해서 드릴게요. 그 자리에서 바로 싸인하지 않고 가져가서 읽어도 될까요?”
즉석에서 작성되더라도 수정 요청 가능합니다.
✅ 전반적인 요구 체크리스트
항목 | 요청 내용 |
✅ 계약기간 | 입사일 기준으로 시작일 명시 |
✅ 근무요일/시간 | 유동적 종료시간 명시 (예: 마감 시까지) |
✅ 출퇴근 기록 | 회사 지시로 조정된 경우에도 급여 보장 명시 |
✅ 주휴수당 | 15시간 넘는 주에는 지급 명시 |
✅ 임금 지급일 | 매월 몇일, 지급 계좌 명시 요청 |
✅ 청년적금용 문구 | “정규소득 발생 계약”임을 명시 또는 증빙 요청 |
위 내용은 아래 블로그를 직접 검색하여 일부 내용을 말씀드렸습니다.
더 궁금한 관련 정보는 아래 블로그를 참고하세요.
[관련 정보 보러가기]:

핵심 요약 2025년 청년내일채움공제는 생애 최초 취업자 또는 고용보험 가입 기간이 12개월 이하인 청년을 대상으로 합니다. 중소기업(5~50인)에 정규직으로 6개월 이내 신청해야 하며, 2년간 청년·기업·정부가 각각 400만 원씩 적립해 총 1,200만 원을 지급받습니다. 신청은 워크넷과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을 통해 진행되며, 서류 제출과 기업 승인 후 최종 확정이 필요합니다[1][3][6]。 워크넷(참여 신청)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청약신청) 고용노동부 공식 안내 청년내일채움공제 가입 조건 구분 청년 조건 기업 조건 ..
story3072.tistory.com

핵심 요약 2025년 7월 청년도약계좌는 만 19~34세 청년이 월 최대 70만원을 5년간 저축하면, 정부지원금과 은행 이자, 비과세 혜택까지 받아 최대 5,000만원의 목돈을 마련할 수 있는 대표 청년 자산형성 상품입니다. 7월 신청기간은 은행별 상이하며, 온라인·모바일로 간편하게 신청 가능합니다. 금리는 최대 9.5% 체감, 정부지원은 월 최대 3.3만원까지 확대되었습니다[1][2][3][4][5][6][7][8]。 서민금융진흥원 청년도약계좌 안내 국민은행 청년도약계좌 신청 신한은행 청년도약계좌 신청 2025년 7월 청년도약계좌...
story3072.tistory.com

월 15만 원으로 만기 때 1,080만 원을 받을 수 있다구요!!어마어마한 혜택이 가득한 희망두배 청년통장 2025, 바로 신청하러 가시죠! 희망두배 청년통장 공식 신청 바로가기 목차희망두배 청년통장이란?모집공고저축 목적지원 조건얼마 저축 가능?참가자 의무사항 & 제출서류중복가능 or 불가능?신청 방법마무리공식 안내 바로가기희망두배 청년통장이란?서울시 희망두배 청년통장은 근로를 하는 청년들이 목돈을 마련하고, 경제적으로 자립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자산형성 지원사업입니다. 통장에 가입하면 2년 또는 3년 동안 매달 15만 원씩 ...
story3072.tistory.com

서론: 월급은 적고, 물가는 높다… 청년의 ‘돈 모으기’ 해법은?요즘 청년들은 적은 소득, 불안정한 고용, 급등한 물가라는 삼중고 속에서 재테크를 시작해야 합니다. 그런 청년들에게 정부가 내민 실질적 지원책이 있습니다. 바로 ‘청년내일저축계좌’.단순히 저축만 하는 것이 아니라, 정부가 최대 월 30만 원까지 매칭해서 지원해주는 제도입니다. 3년간 유지하면 목돈이 쌓이고, 자립 기반을 마련할 수 있죠. 하지만 단순히 “정부에서 돈을 준다”는 이유로 무턱대고 가입하면 안 됩니다.신청 조건, 정부 매칭금 지급 기준, 탈락 사례 등을...
story3072.tistory.com
청년 적금에 관련된 것은 1개밖에 가입이 되지 않습니다. 꼭 적금 상품 내용을 읽어보시고 비교하면서 가입하시길 바랍니다.

세금은 억울한 비용이 아니라 안정된 사회와 미래를 위한 기본 시스템입니다. 월급명세서를 제대로 읽을 줄 아는 것만으로도 돈 관리의 절반은 끝난 셈이죠. 사회초년생이라면 반드시 세금 항목과 4대 보험의 구조부터 제대로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예산을 짜는 것이 좋습니다.첫 직장, 첫 월급… 그런데 왜 생각보다 적을까?처음으로 직장을 얻고 설레는 마음으로 첫 월급을 받는 순간, 많은 사회초년생들은 당황합니다. “내가 알던 월급보다 왜 이렇게 적지?” 그 이유는 바로 각종 세금과 사회보험료가 공제되었기 때문입니다.이 글에서는 사회초년생이...
story3072.tistory.com
질문자님의 상황이 잘 해결되시길 바랍니다.
참아야지! 참아라! 그러면 잘 되어 갈 걸세. 친구여, 정말 자네 말이 맞네. 세상 사람들 틈에 끼여 날마다 일에 쫓기며, 다른 사람들이 하는 일과 그들의 행동을 보기 시작한 이후로 나는 나 지신과 휠씬 더 잘 타협할 수 있게 되었네.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 - 괴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