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 사양인텔 코어i5-12세대 12400F (엘더레이크)쿨러 3RSYS Socoool RC340ASUS PRIME H610M-E D4코잇ESSENCORE KLEVV DDR4-3200 CL22 파인인포 (8GB)2개MSI 지포스 RTX 4060 벤투스 2X 블랙 OC D6 8GB삼성전자 PM9A1 M.2 NVMe 병행수입 (1TB)마이크로닉스 Classic II 풀체인지 700W 80PLUS브론즈 ATX3.1윈도우 11먼저 증상은 게임 프로그램만 튕길 때가 있고, 컴퓨터가 재부팅 될 때도 있는데 프로그램만 튕길때가 많습니다.발로란트랑 배틀그라운드 스팀 게임을 주로 하는데, 발로란트는 게임을 잘하다가 15라운드 정도 가면 갑자기 시스템 에러도 떴고, 크리티컬 에러가 뜨고 아니면 데스매치와 같은 매치를 돌리면 게임이 끝나면 프러그램 에러가 뜨면서 튕김.배그는 리소스 부족 에러가 떠서 파일 검사? 그걸 해봤는데 잘 되다가 2시간 정도 하다가 갑자기 렉이 걸리면서 크래쉬 오류가 뜨고 다시 배그를 들어가면 몇 분 안 되서 크래쉬에러가 반복적으로 뜹니다.롤을 했을 때는 이상이 없었는데 클라이언트에서 롤을 실행시킬때 종종 시스템오류 004가 뜬 적이 있었고, 가끔 재부팅했던 기억이 있습니다.뭐가 문제일까요..
아예 재부팅 되는 경우가 있다는건 소프트웨어 문제가 아니란 얘기입니다. 단순히 프로그램만 종료됐거나, 윈도우 바탕화면으로 빠진 경우라면 별 문제가 아니지만 PC 자체가 재부팅, 멈춤, 꺼짐이 발생한 경우는 소프트웨어 문제인 경우는 거의 없고 하드웨어 문제일 확률이 99% 입니다. 하드웨어 문제일 경우 단순하게 어떤 테스트 장비가 있어서 연결해보면 삑- 하고 어떤 부품 불량입니다. 라고 안내를 해주면 좋겠지만 사실 그런 장비는 없이 일일히 각 구성 부품 정상품으로 교체를 해서 테스트를 해보며 원인의 부품을 찾아야 합니다. 본체 내부의 부품 (하드웨어) 이 하나라도 문제가 생기는 경우 꺼지는 증상 자체도 동일한데 전체 비중별로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1. 메모리 단순 접촉 불량이나 제품 이상 (빈도 높음) > 분리후 재장착 또는 다른 램으로 교체 확인
2. CPU, 그래픽카드 동작 온도 이상이나 고장 > 온도 이상 제품 센터 입고 AS 받아야 합니다.
(특이 사례 https://cafe.naver.com/comzal/23334 이런식의 까다로운 CPU 불량도 있습니다)
3. 전원 공급하는 파워서플라이 출력 이상이나 고장 > 파워 보통 무상 AS 5년 입니다.
4. CPU, 메모리 오버 클러킹 세팅 > 바이오스 원래 기본 설정으로 되돌리고 리부팅 하여 확인
5. 메인보드 불량이나 이상 > 메인보드 수입한 센터 입고 하여 점검
6. 메인보드 케이스 조립상 절연 문제 > 전기가 통해서 쇼트
7. 그래픽카드 드라이버, 윈도우 업데이트 특정 버전 문제 > 드라이버 삭제후 구 버전 설치 테스트
8. 디스크 (SSD,HDD) 자체 불량이나 연결 케이블 (데이터, 전원 케이블) 불량 또는 접촉불량
이런 작업을 직접 해보면 됩니다. 새제품 구매를 하셨다면 CPU, 메인보드, 그래픽카드는 센터에서 무상 AS 3년 파워는 3년-10년 램은 1년 6개월에서 단종될때까지 무제한등 보증을 해주니 문제 되는 제품만 분리해서 센터로 보내면 추가 비용 없이 무상 교체 됩니다. (텍배비도 보통 50% 지원 해줍니다) 그래서 해보시고 혼자하기 어렵다 판단되면 근처 수리점을 찾으면 됩니다. 다만 출장 AS는 부르지 마시고, 근처 수리점 방문전에도 https://cafe.naver.com/comzal/5214 이 내용 읽어보시고 유의해서 수리를 맡기셔야 합니다.
조립컴퓨터 수리, 구매 문제는 진짜 프로에게 물어보고 쉽고 정확하게 해결하세요.
네이버 카페 컴잘알 https://cafe.naver.com/comzal/24214
참아야지! 참아라! 그러면 잘 되어 갈 걸세. 친구여, 정말 자네 말이 맞네. 세상 사람들 틈에 끼여 날마다 일에 쫓기며, 다른 사람들이 하는 일과 그들의 행동을 보기 시작한 이후로 나는 나 지신과 휠씬 더 잘 타협할 수 있게 되었네.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 - 괴테